냉동보관한 음식이나 식재료를 해동한 후, 버리기 아깝다는 이유로 다시 냉동하신적 있으신가요? 보통 냉동상태의 음식이나 식재료를 해동한 후에 재냉동하면 안 된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그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해동과정에서는 어떤일이 일어나나?
우리는 보통 해동된 식품에서 박테리아가 자라서 식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알고 있는데 가장 큰 문제는 냉동식품을 해동하는 과정에서 박테리아가 생성하는 독소에 있습니다.
음식이 해동되면서 휴면상태였던 박테리아가 활성화되어 증식하기 시작하면서 다양한 독소를 생성합니다. 해동한 음식이 위험한 이유는 박테리아 자체가 아니라 박테리아가 성장하는 동안 방출하는 독소 때문입니다.



다시 냉동하면 되는 거 아니야?
해동된 음식을 다시 냉동하면 박테리아를 죽이고 부패를 방지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재냉동은 박테리아 성장을 늦추지만 이미 생선 된 독소까지 제거할 수는 없습니다.
더욱이 가정용 냉동고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독소를 비활성화할 만큼 낮은 온도에 도달하지 않습니다. 박테리아는 그 속도가 비록 느리기는 하지만 가정용 냉동고에서도 계속해서 증식할 수 있습니다.
식품을 두 번째로 해동하면 이미 활동 중인 박테리아가 빠르게 더 많은 독소를 생성하여 처음 해동할 때보다 더 빨리 부패할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해동된 식품은 다시 냉동하지 말라고 하는 이유입니다.
진공포장식품은 안전한가?
진공포장식품에서는 일부 박테리아가 자라는데 필요한 공기가 부족하기 때문에 예외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박테리아는 공기가 존재하지 않는 혐기성 조건에서도 증식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진공포장된 식품이라도 한번 해동한 식품은 냉동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냉동식품 취급 시 주의사항
1. 구입한 식재료를 냉동보관할 경우에는 한번 사용할 만큼 소분하여 냉동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2. 해동된 식품은 빠른 시간 내에 섭취하여 박테리아 증식위험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3. 해동된 음식은 적절한 온도에서 완전히 조리하여 활성화되어 있을 수 있는 박테리아를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봄에 조개먹어도 될까? 패류독소에 대해서 알아보자.
조개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고민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는 봄에 조개를 먹어도 되는 것인가에 대한 답입니다. 이번글에서는 봄에 조개를 먹어도 되는지, 한 번쯤은
alloll.tistory.com
따뜻해지는 봄철! 주꾸미를 먹어야 하는 이유, 주꾸미 효능
추운 겨울이 지나고 어느새 다시 봄이 찾아왔습니다. 봄에는 주꾸미를 먹어야 한다고 하는데요, 그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꾸미란 주꾸미는 낙지와 비슷하지만 크기가 더 작
alloll.tistory.com
올리고당 물엿 차이
요리할 때 단맛을 내기 위해 사용하는 감미료인 올리고당과 물엿. 둘은 액체로 되어있고 단맛도 내기 때문에 비슷한 것 같지만 분명 차이점이 있습니다. 이번글에서는 올리고당과 물엿에 대하
alloll.tistory.com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렌틸콩 효능 6가지 알아보기 (3) | 2024.09.10 |
---|---|
유정란 무정란 차이 (0) | 2024.07.03 |
흑삼이란? 흑삼 효능, 흑삼 만드는법, 구증구포 하는이유 (2) | 2024.06.04 |
자연산 송이버섯은 왜 비싼걸까? 송이버섯 비싼이유 (1) | 2024.05.28 |
아티초크 효능, 부작용, 먹는법, 파는곳 (1) | 2024.05.27 |